1. 탁쌤이 쓰신 글을 천천히 여러번 곱씹어 읽어봤습니다. 그 중 제게 가장 와 닿았던 글은 자기 자신의 삶의 시간을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저는 기술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곧바로 중소기업에 취직하여 2번의 이직을 거치며 10년에 가까운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돌이켜 보면 나름대로는 열심히 살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들이 내가 원해서가 아닌 남에게(회사 혹은 더 나은 회사로의 이직) 잘 보이기 위해서 저의 시간을 할애하고 있던것이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 24시간 중 온전히 나를 위한 시간은 불과 얼마나 될까 라는 의문이 생깁니다. 지금까지 한쪽 구석에는 어딘가 모르게 불편하지만 결정권 없는 삶을 당연하게 여기며 불편함을 모른채 하며 버티면 잘 될거라 살아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탁쌤의 글처럼 어린시절 부터 이러한 사회에서 그렇게 세뇌되어 온 것이죠. 이 책을 읽기 전까진 저도 그저 돈을 많이 벌기위해, 경제적 자유 = 돈에서의 해방 이라고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하루 24시간을 온전히 저의 것으로 만들고 싶어졌습니다. 결정권 없는 삶의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행동하고 움직일때가 됐다고 말이죠.
2. 저는 자본주의를 자본이 근간이 되는 사회이며 이는 즉, 자본에 따라 삶의 자유도가 결정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지금의 사회는 자본의 흐름이 세상이 움직이고 그에 따라 사회가 죽거나 살아나는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즉, 모두에게 시간은 한정적으로 주어지고 그 시간 또한 자본에 따라 움직입니다. 따라서, 저에게 자본주의에서 자본은 삶의 주체를 찾게 해주는 수단입니다.
3, 4. 탁쌤 글을 읽고 나서 여러 생각을 거치고 다양한 책을 읽으며 '창업' 이라는 곳에서 생각의 끝이 다다랐습니다. 아직까지 구체화 되진 않았지만 2023년 안에는 사업자등록증을 내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탁쌤의 글에서 액션페이킹이란 말에 스스로 뜨끔했습니다. 실제로 행동으로 실천하는 노력이 제일 필요하다 고 생각합니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창업과 관련된 서적을 보며 공부하고, 사람들의 행동을 유심히 관찰하고, 소크라테스 문답법을 이용하여 사물을 보는 시각과 생각에 깊이를 더해야 합니다. 창업ㅇ,ㄹ 위한 분야, 시장을 세분화 하여 정한 다음 그와 관련된 SNS를 만들어 꾸준히 관리하고 운영하여 사람들의 니즈를 파악 해야 할 것 입니다. 니즈를 토대로 시제품을 만들어 사람들에게 체험시키고 피드백을 확인하며 아이템을 선정해야 합니다.
5. 탁쌤이 돈맹탈출을 위한 노력을 시작한 후 '이대로면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있겠다' 라고 생각했던 전환점이나 순간이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건 또는 노력을 했을때 느꼈는지.
1. 탁쌤이 쓰신 글을 천천히 여러번 곱씹어 읽어봤습니다. 그 중 제게 가장 와 닿았던 글은 자기 자신의 삶의 시간을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저는 기술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곧바로 중소기업에 취직하여 2번의 이직을 거치며 10년에 가까운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돌이켜 보면 나름대로는 열심히 살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들이 내가 원해서가 아닌 남에게(회사 혹은 더 나은 회사로의 이직) 잘 보이기 위해서 저의 시간을 할애하고 있던것이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 24시간 중 온전히 나를 위한 시간은 불과 얼마나 될까 라는 의문이 생깁니다. 지금까지 한쪽 구석에는 어딘가 모르게 불편하지만 결정권 없는 삶을 당연하게 여기며 불편함을 모른채 하며 버티면 잘 될거라 살아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탁쌤의 글처럼 어린시절 부터 이러한 사회에서 그렇게 세뇌되어 온 것이죠. 이 책을 읽기 전까진 저도 그저 돈을 많이 벌기위해, 경제적 자유 = 돈에서의 해방 이라고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하루 24시간을 온전히 저의 것으로 만들고 싶어졌습니다. 결정권 없는 삶의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행동하고 움직일때가 됐다고 말이죠.
2. 저는 자본주의를 자본이 근간이 되는 사회이며 이는 즉, 자본에 따라 삶의 자유도가 결정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지금의 사회는 자본의 흐름이 세상이 움직이고 그에 따라 사회가 죽거나 살아나는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즉, 모두에게 시간은 한정적으로 주어지고 그 시간 또한 자본에 따라 움직입니다. 따라서, 저에게 자본주의에서 자본은 삶의 주체를 찾게 해주는 수단입니다.
3, 4. 탁쌤 글을 읽고 나서 여러 생각을 거치고 다양한 책을 읽으며 '창업' 이라는 곳에서 생각의 끝이 다다랐습니다. 아직까지 구체화 되진 않았지만 2023년 안에는 사업자등록증을 내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탁쌤의 글에서 액션페이킹이란 말에 스스로 뜨끔했습니다. 실제로 행동으로 실천하는 노력이 제일 필요하다 고 생각합니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창업과 관련된 서적을 보며 공부하고, 사람들의 행동을 유심히 관찰하고, 소크라테스 문답법을 이용하여 사물을 보는 시각과 생각에 깊이를 더해야 합니다. 창업ㅇ,ㄹ 위한 분야, 시장을 세분화 하여 정한 다음 그와 관련된 SNS를 만들어 꾸준히 관리하고 운영하여 사람들의 니즈를 파악 해야 할 것 입니다. 니즈를 토대로 시제품을 만들어 사람들에게 체험시키고 피드백을 확인하며 아이템을 선정해야 합니다.
5. 탁쌤이 돈맹탈출을 위한 노력을 시작한 후 '이대로면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있겠다' 라고 생각했던 전환점이나 순간이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건 또는 노력을 했을때 느꼈는지.